2022 청년내일저축계좌 혜택, 지원 대상, 신청방법 총정리
안녕하세요. 이번에는 일반 청년들이 매월 10만 원씩 저축했을 때 최대 30만 원 지원해주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.
특히 소득 및 나이 때문에 신청 가능한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 이번 게시물에서 총정리를 해드리겠습니다.
※ 청년내일저축계좌
: 일하는 중간계층 청년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자산 형성 지원 및 자립을 돕는 복지서비스
- 지원 혜택 (기준중위소득 표는 게시물 하단에 첨부)
- 기준중위소득 50% 이하: 본인 금액 10만 원 + 30만 원 지원 → 총 1,440만 원 지원
- 기준중위소득 50%~100% 이하: 본인 금액 10만 원+10만 원 지원→ 총 720만 원 지원
- 지원 요건
- 3년간 통장 유지
- 근로활동 유지
- 교육 이수
- 자금사용계획서 제출
- 근로소득 공제금, 탈수급 장려금, 내일키움 장려금, 내일키움 수익금 등 추가지원 가능
- 지원 대상
- 신청 당시 만 19~34세
- 수급자, 차상위자,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는 만 15~39세까지 가능
- 근로/사업소득 월 50만 원~200만 원 이하(기준 중위소득 50%~100% 이하)
- 수급자, 차상위자,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는 월 50만 원 이하도 가능
- 가구 소득 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
- 가구 재산 대도시 3.5억 원 이하, 중소도시 2억 원 이하, 농어촌 1.7억 원 이하
- 신청 당시 만 19~34세
- 신청 방법
- 7.18~8.5일까지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온라인 신청 혹은 주민센터 방문 접수
- 본인만 신청 가능
- 출생일 기준 5부제 시행
- 월요일 → 출생일 1, 6으로 끝나는 청년
- 화요일 → 출생일 2, 7으로 끝나는 청년
- 수요일 → 출생일 3, 8으로 끝나는 청년
- 목요일 → 출생일 4, 9으로 끝나는 청년
- 금요일 → 출생일 5, 0으로 끝나는 청년
- 보건복지상담센터: 129
- 자산형성상담센터: 1522-3690
- 보건복지부 전화상담실: http://www.129.go.kr
- 한국자활복지개발원: http://www.kdissw.or.kr
- 7.18~8.5일까지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온라인 신청 혹은 주민센터 방문 접수
청년내일저축계좌(하나은행)에 매달 저축하다 보면 최대 5% 이자도 받을 수 있습니다.
- 기본금리: 연 2% → 연 2% 이자로 만기 수령 시 10,893,906원 수령(차상위 청년: 14,493,906원 수령)
- 우대금리: 최대 연 3%(+2%) → 연 5% 이자로 만기 수령 시 11,034,765원 수령(차상위 청년: 14,634,765원 수령)
- 주택청약가입 및 보유: 1%
- 급여 이체 및 주거래이체: 1.2%
- 마케팅 동의: 0.5%
- 하나 합 서비스 등록: 0.3%
요새 물가도 치솟으면서 1억을 모으기란 굉장히 어렵더라고요.
그러나 국가에서 이러한 좋은 기회를 준 만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청년들은 빨리 신청해서 돈을 모으시면 좋겠습니다. 이른 나이부터 돈을 모을수록 나이 들었을 때 대단히 많은 부의 차이를 낼 수가 있습니다.
그런 만큼 친구보다 적게 쓰고 많이 저축해서 남들보다 빠르게 1억을 모아보아요!
'다양한 혜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걷기만 해도 돈 버는 어플 추천(메디패스, 지니어트, ROTHY, 캐시워크) (0) | 2022.08.01 |
---|---|
이율 높은 파킹 통장 추천(토스뱅크 통장, OK읏통장, 웰컴 직장인사랑 보통예금) (0) | 2022.07.30 |
음악만 들어도 돈을 버는 앱테크(뮤직앤캐시) (0) | 2022.07.27 |
하루 10분 투자해서 월 5만 원버는 앱테크(설문조사 앱) (0) | 2022.07.26 |
출석 체크만 해도 돈버는 앱테크(어플) 추천 (0) | 2022.07.25 |